공시지원금 선택약정 스마트폰 기종별 할인
“같은 스마트폰인데, 누구는 40만 원 싸게 삽니다”
선택약정 할인, 전부 똑같이 적용된다고 생각하셨다면 큰 오산입니다.
모든 스마트폰이 동일하게 할인되는 것이 아니라, 기종에 따라 할인 적용 여부와 할인액이 크게 달라집니다.
특히 자급제폰과 공시수령 이력이 있는 중고폰의 경우는 조건을 제대로 알지 못하면 아예 할인 적용 자체가 안 되거나, 위약금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① 선택약정이 가능한 스마트폰 기종 조건,
② 기종별 예상 할인액 비교,
③ 기종 선택 시 꼭 확인해야 할 할인 가능 여부 체크포인트까지
실제 사례와 표를 활용해 전문적으로 정리해드립니다.



1️⃣ 선택약정 가능한 스마트폰 기종, 이렇게 구분됩니다
선택약정 할인은 단순히 ‘본인이 신청하면 되는’ 제도가 아닙니다.
단말기 조건에 따라 할인 적용 여부가 완전히 갈립니다.
특히 공시지원금을 받은 이력이 있는 단말기는 아예 선택약정 적용 대상이 아니며, 중고 단말기도 과거 사용 이력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선택약정 할인 가능 단말기 조건 (2025년 최신 기준)
| 자급제폰 (공기계) | ✅ 무조건 가능 (공시수령 이력 없음) |
| 통신사 개통폰 (공시 미수령) | ✅ 가능 (최초 개통 시 선택약정으로 가입한 경우) |
| 중고폰 (공시수령 이력 없음) | ✅ 가능 (IMEI 기준 통신사 등록 이력 확인 필요) |
| 중고폰 (과거 공시수령 이력 있음) | ❌ 불가 (공시 약정기간 경과 전에는 선택약정 전환 금지) |
| 공시 개통 후 요금제 유지 중인 단말기 | ❌ 불가 (약정 중복 적용 안 됨) |
IMEI(단말기 고유번호) 기준으로 과거 개통 이력이 남아 있는 단말기의 경우, 시스템에서 자동 거절되는 사례 많음
→ 고객센터나 통신사 매장에서 ‘선택약정 가능 단말기인지’ 사전 조회 필수



2️⃣ 스마트폰 기종별 선택약정 할인액 비교 (요금제 기준 포함)
선택약정은 공시지원금처럼 기기 자체에 따라 할인액이 정해지는 게 아니라, 사용 요금제 금액에 따라 할인액이 정해지는 구조입니다.
그러나 실질적으로 어떤 스마트폰을 사용하는지에 따라, 실제로 사용하는 요금제가 달라지기 때문에 결국 기종별 예상 할인액은 차이가 생깁니다.
요금제별 월 할인액 (선택약정 기준)
| 33,000원 | 8,250원 | 약 8천 원 | 약 198,000원 |
| 55,000원 | 13,750원 | 약 1.4만 원 | 약 330,000원 |
| 69,000원 | 17,250원 | 약 1.7만 원 | 약 414,000원 |
| 89,000원 | 22,250원 | 약 2.2만 원 | 약 534,000원 |
기종별 할인 적용 시 실제 할인 총액 예시
| 갤럭시 S24 | 89,000원 이상 | 약 53만 원 | 고가 요금제 유지 시 할인 극대화 |
| 아이폰 15 Pro | 69,000~89,000원 | 약 41~53만 원 | 자급제 구매 + 선택약정 최적 |
| 갤럭시 A34 | 33,000~55,000원 | 약 20만~33만 원 | 중저가 요금제에서도 할인 적용 |
| 아이폰 SE (2세대 중고) | 33,000원 | 약 20만 원 | 과거 공시이력 없는 중고폰 기준 |
| 갤럭시 노트20 (중고) | 불명확 | 0원 or 제한 | 과거 공시이력 존재 시 불가 |
요금제가 높을수록 할인액이 많아지며, 자급제 프리미엄폰 + 고가 요금제 조합이 가장 큰 할인 효과를 가져옵니다.



3️⃣ 선택약정 적용 가능 여부, 이렇게 사전 확인하세요
선택약정이 적용되는 단말기인지 확인하지 않고 개통을 시도하면 신청 거절되거나 요금 할인 없이 개통되는 오류가 생깁니다.
아래 단계별로 사전 점검하면 누구나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선택약정 적용 가능 여부 확인 단계
- 단말기 IMEI(고유번호) 확인
- 휴대폰 → *#06# 입력 → IMEI 숫자 확인
- 통신사 고객센터 또는 앱 접속
- SKT: T월드 앱 > 약정/할인 > 선택약정 신청
- KT: 마이KT 앱 > 할인정보 > 선택약정 대상 확인
- LGU+: U+ 고객센터 앱 > 요금 조회 > 선택약정 항목
- IMEI 등록 여부 확인
- ‘공시지원금 수령 이력 없음’으로 확인될 경우 신청 가능
- ‘공시 수령 기기’로 등록되어 있으면 신청 거부됨
- 회선 상태 점검
- 회선이 공시 약정 중이면 중복 신청 불가
- 기존 선택약정 종료 후 재약정은 별도 조건 필요
꼭 기억해야 할 실전 팁
- 자급제폰이 가장 안전하고 확실한 선택약정 대상
- 중고폰 구매 시 판매자에게 반드시 ‘공시 미수령 확인서류’ 요청할 것
- 기기변경 직후 바로 선택약정 신청 시 거절되는 사례 많음 → 90일 대기 권장
선택약정은 기종 따라 전략이 달라집니다
선택약정은 요금제 할인 제도지만, 실제로는 단말기 기종과 조건에 따라 적용 여부와 할인액이 크게 달라집니다.
특히 공시 수령 이력이 있는 중고 단말기, 통신사 락 걸린 모델 등은 선택약정 대상에서 제외되는 경우가 많아 주의가 필요합니다.
자급제 단말기 + 고가 요금제 조합이 가장 높은 할인 혜택을 받는 조합이며,
선택약정 대상 여부는 구매 전 반드시 IMEI를 통해 통신사에 확인해야 합니다.
단순히 스마트폰을 싸게 사고 싶다면, 요금제보다 기기 조건부터 점검하는 것이 진짜 절약의 시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