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시지원금 선택약정 위약금 계산 방법
“선택약정 해지? 그냥 끊었다간 위약금 폭탄 옵니다”
요금 아끼려던 선택약정, 오히려 위약금 물고 손해 보는 사람 많습니다.
선택약정 할인은 매달 통신비의 25%를 아껴주는 제도지만, 중도 해지하거나 기기를 바꾸면 ‘위약금’이 부과될 수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이 글에서는 선택약정 해지 시 위약금이 발생하는 조건, 계산법, 실제 예시, 피하는 팁까지 낱낱이 파헤쳐드립니다.
놓치면 손해 보는 정보, 5분이면 전부 이해할 수 있습니다.



1️⃣ 선택약정 해지하면 왜 위약금이 생기는 걸까?
선택약정은 ‘공시지원금을 안 받는 대신 요금을 할인’해주는 제도입니다.
따라서 통신사 입장에서는 할인 금액만큼 손해를 본 셈이죠.
이 할인은 약정 기간(12개월 또는 24개월) 동안 유지되는 조건이기 때문에, 중간에 해지하거나 요금제를 변경하면 미리 받은 할인을 반환하라는 의미로 위약금이 발생합니다.
가장 흔한 위약금 발생 사례는 다음과 같습니다:
- 약정 기간 중 통신사 해지
- 번호 이동(MNP)으로 타 통신사로 갈아탄 경우
- 선택약정 할인받던 회선을 요금제 변경하며 실수로 해지
- 신규 단말기 구입으로 재약정 시 기존 약정 자동 종료
👉 특히 자급제폰 → 통신사폰으로 변경 시, 자동으로 기존 선택약정이 종료되면서 위약금이 나올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2️⃣ 선택약정 위약금 계산 방법, 직접 예시로 확인해보세요
선택약정 위약금은 간단히 말하면
**“남은 약정 기간에 받을 예정이던 할인 금액의 일부”**를 반환하는 구조입니다.
📌 공식 계산식
위약금 = (총 할인금액) × (잔여 개월 수 ÷ 전체 약정 개월 수)
🔍 실제 예시
- 선택약정 24개월, 요금제 월 8만 원, 25% 할인으로 월 20,000원 할인
- 1년(12개월) 사용 후 해지한 경우:
| 총 할인액 | 20,000원 × 12개월 = 240,000원 |
| 잔여 개월 수 | 12개월 |
| 위약금 | 240,000원 × (12/24) = 120,000원 |
✅ 주의사항: 위약금은 최대치가 아닌, ‘잔여 할인금에 대한 환수’이기 때문에 ‘사용한 만큼은 제외’되고 나머지만 반환합니다.



3️⃣ 위약금 피하는 꿀팁! 실수하면 수십만 원 손해
위약금을 피하려면 다음 3가지만 기억하세요.
✅ 위약금 방지 3원칙
- 약정 기간 확인은 필수
→ 통신사 앱(T월드, 마이KT, U+고객센터)에서 ‘선택약정 종료일’ 꼭 체크 - 재약정·기기변경 시 기존 약정 자동 해지 여부 확인
→ 새 단말기 개통 전 반드시 상담원에게 위약금 여부 문의 - 요금제 변경도 조심
→ 일부 요금제 변경 시 할인조건 해지로 간주되어 위약금 발생 가능
📱 TIP: 선택약정 종료일 확인 방법
| SKT | T월드 앱 > 나의 상품 > 할인/약정 확인 |
| KT | 마이KT > 가입정보 > 할인정보 |
| LG U+ | U+고객센터 앱 > 요금제/할인 확인 |
선택약정 위약금, 무조건 피할 수 있습니다
선택약정은 잘 활용하면 통신비를 크게 아낄 수 있지만, 해지 타이밍이나 기기변경만 잘못 잡아도 위약금으로 수십만 원 손해를 볼 수 있습니다.
계약기간과 할인금액, 변경 시기만 제대로 체크하면 위약금은 충분히 피할 수 있는 요소입니다.
모르고 당하는 일 없도록, 오늘 당장 통신사 앱에서 내 약정 상태부터 확인해보세요!